올 해는 2023년 계묘년(검은 토끼의 해)이다. 육십간지의 40번째로, 계(癸)는 '흑색', 묘(卯)는 '토끼'를 의미한다. 2023년에는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 올 해는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해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전 세계가 코로나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갈지가 주목되는 해이다. ◆ 세계적으로 2020년~2022년 사이에는 주요 선거가 몰려 있었다. 또 2024년에 다시 많은 선거들이 몰려 있다. 그래서 2023년은 세계적으로 선거 숨 고르기하는 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는 매년 치르는 재보궐선거만 2번 있고, 전국 동시 선거는 없다. ◆ 우리나라에서 2023년에 가장 많이 바뀌는 것은 바로 '제도'다. 1월에는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적용(유제품 제외) △대학 입학금 제도 폐지 △최저 시급 9,620원으로 인상 △만 0세 아동에게 월 70만원 부모급여 1년간 지급 △휘발유 유류세 인하폭 37%->25%로 축소 △아이 돌봄 서비스 제공시간 하루 4시간으로 확대 △무순위 청약 거주지역 요건 폐지 △부동산 취득세 과세표준 실거래가로 변경 △증여취득 취득세 '시가인정액' 적용등이 있고, 6월에는 △만 나이 통일…
향수는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화장품으로, '연기를 통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라틴어 ‘Per Fumum’에서 유래되었다. 향수의 향을 연구하고, 향수 상품을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을 '조향사'라고 한다. 향수는 알코올에 첨가한 향수 원액의 비율에 따라, ▲퍼퓸(Perfume) ▲오 드 퍼퓸 (Eau de Perfume) ▲오 드 뚜왈렛 (Eau de Toillette) ▲오 드 코롱 (Eau de Cologne) ▲샤워 코롱 (Shower Cologne) 순서로 구분한다. 먼저, 퍼퓸(Perfume)은 향수 중 가장 진한 계열로, 향유 첨가율(농도)은 15~30%이며, 향은 최대 12시간까지 지속된다. 두 번째, 오 드 퍼퓸 (Eau de Perfume)의 농도는 8~15%이며, 최대 8시간까지 지속된다 세 번째로, 오 드 뚜왈렛 (Eau de Toillette)의 농도는 4~8%이며, 5~8시간 정도 지속된다. 네 번째로, 오 드 코롱 (Eau de Cologne)의 농도는 3~5%이며, 최대 4시간 정도 지속된다. 마지막으로, 샤워 코롱 (Shower Cologne)은 사람들에게 바디미스트 라는 용어로 더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지속시간은 1시간
2022년 제 11호 태풍 '힌남노'와 제 12호 태풍 '무이파'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태풍 '힌남노'의 이름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힌남노 국립보호구역(Hin Nam No National Protected Area)'에서 따왔다고 한다. 이 태풍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인명피해는 △사 망 14명 △부상 6명 △실종 1명이다. 또, 수 많은 수해민과 1조 7,300억원 상당의 재산 피해도 입었다. 현재(9월 9일 기준), 피해지 7천 787곳 중, 2천 431곳이 응급 복구를 마쳐, 31%의 복구율을 보이고 있다.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위력이 커지는데, 태풍이 우리나라가 있는 중위도까지 올라오고 지상에 상륙한 뒤에도 이 정도의 강한 세력을 유지했던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태풍 '무이파(梅花, Muifa)'의 이름은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한자 표기는 매화나무의 꽃인 '매화'와 같으며, 광동어로는 서양자두 꽃을 의미한다. 이 태풍은 태풍 힌남노가 우리나라에게 많은 피해를 준 이후 생겨났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은 걱정과 우려를 안겨 주었다. 하지만, 태풍은 중국을 향해 갔고, 중국 동부해안에 큰 피해를 주었다. 태풍 무이파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로, 전국에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늘고 있다. 폭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켜야 할 안전수칙을 알아보자! ▲ 집안에 물이 들어오기 시작할 때, 먼저 전기를 차단하고, 가스를 잠그고, 현관문을 열어두어야 한다. (전기가 차단되지 않으면 물 접촉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수압이 차면 문이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 하천 인근 산책로를 걷다가 물이 차오를 때, 먼저 벽면에 있는 비상계단을 찾아 올라가야 한다. (평소 비상 계단의 위치를 알아두자!) ▲ 폭우가 내린다는 예고가 된 날, 상습 침수 지역이나 산 근처에 있을 때, 즉시 그 지역을 벗어나야 한다. (상습 침수 지역은 집이나 차가 침수될 가능성이 높으며, 산 근처는 산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 집에 있는 귀중품을 챙기기 보다, 나 자신을 먼저 챙기기 귀중품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생명이다. ▲ 노약자와 어린이는 되도록 외출을 삼가하자! 만약,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인해 꼭 나가야 한다면, 비가 덜 올 때, 그리고 보호자와 함께 외출하자! (폭우에 외출은 안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이처럼 폭우가 내리거나 침수 주의보가 내린 날은 되도록 집에서 외출하
현재 우리나라는 심한 폭우로 인한 고통을 받고 있다. 차량, 도로, 주택등을 비롯해, 인명피해도 많이 발생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폭우에서 우리를 지키기 위해 어떤 대처를 해야할까 알아보자! 먼저 국민재난안전포털에 따르면,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땅이 낮은지역) 및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을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고 한다. 또 비바람이 불 때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자제하도록 하며, TV·라디오·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자주 확인하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여행을 갈 때는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피하는것이 좋다. 그밖에도 비가 내리면 도보에 물이 있어서 미끄러질수 있으니 걷는 것에 주의하라고 한다. 차가 빗길에 잘 멈추지 못하므로, 횡단보도라도 주의해서 건너야한다고 한다. 폭우에 대한 대비와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 지금 우리가 해결해야하는 문제다. 주위를 더 꼼꼼하게 살피자!
청소년의 대표적인 대명사. 사춘기(思春期)! 사춘기를 해석해 보자면, '2차 성징(性徵)이 나타나고 완성되기 시작하는 시기' 라고 할 수 있다. 조금 다르게 해석한다면, 봄을 그리워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봄을 그리워한다." 이게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 필자의 생각엔, 혼란스러우며 변화되는 이 과정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순수했던 옛 시절을 그리워한다는 뜻인 것 같다. 이 시간들을 사춘기라고 부르는 것처럼, 우리는 결코 쉽지 않은 현재를 보내고 있다. 한국 특유의 경쟁 사회, 여러 사람 간에 관계와 인과, 그리고 계속 변화하는 자신에 익숙치 않음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며 수 많은 일들을 겪고 있다. 그 가운데 당당히 서 있으려 노력한다. 하지만, 지친다. 가끔은, 나는 누구고, 왜 이래야하며 무엇 때문에 내가 살아가고 있는지 고민 될 때가 있다. 그래서 필자는, 우리가 지금 현재를 살며 잊지 말아야 할 것과 어떻게 살아야할 지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한다. ▲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 위에서 말했듯이 우리는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하루 또는 일주일의 과제를 반복하며 살아가고 있다. 간혹 쉬기는 하지만, 우리가 걸어가는 길에 있는 이상한 벤치일 뿐이
요즘 ENA에서 방영하고 있는 수목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드라마 주인공 '우영우'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천재 변호사다. 이 천재 변호사가 “한바다”라고 불리는 대형 로펌에 취직해,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상황들에 대해서 법적으로 피고인을 변호하는 내용이다. 여기서 '우영우' 변호사가 가지고 있는 장애, '자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자폐란? 자폐증(autism)은 주로 3세 이전에 나타나는데, △언어 표현과 이해 △어머니에 대한 애착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 부족 △상동증(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위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난다.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자폐증의 동의어 자폐증의 동의어로는 △자폐 △자폐병 △자폐성장애 △자폐성질환 △자폐스펙트럼장애 등이 있다. ▶자폐증 증상 자폐증 증상으로, 대표적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에 질적인 문제를 보이고, 언어와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인다. 또,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상동증을 보이고, 기분과 정서의 불안정성을 보이기도 하며, 75%의 자폐
매년 여름이 점점 더워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기온이 더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는 지난 2018년에 가장 더운 여름을 보냈다. 올해는 강수량이 작년과 비슷하고, 기온은 더 높을 것이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온열질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 한달 간은 지난해보다 1.7배 이상 많은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의 24일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69명 더 많은 환자가 나왔다고 한다. 열사병과 열탈진은 대표적인 온열질환이다. 이는 두통, 어지러움, 피로감, 의식저하, 근육경련을 동반하는데, 오랜시간동안 무더운 환경에 노출될 때 생긴다. 질병청은 폭염에 노출되어, 체온이 40°C 이상으로 오르는 열사병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서 조치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 열사병의 전조증상이 있다면, 체온을 빨리 낮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열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벗어나, 차가운 물수건 등으로 몸을 덮어 체온을 낮추어야 한다. 의식이 있다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적당량의 이온음료도 도움이 된다. 또 예방책으로는 물을 자주 마시고,…
'리사이클링'과 '업사이클링'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리사이클링(re-cycling)은 말 그대로 '재활용'을 의미한다. 사용했던 제품을 다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리사이클링의 포인트는 제품 본래의 모습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그 모습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한 유리병을 세척해서 다시 사용하는 것,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다음으로, 업사이클링이란? 버려지는 제품을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디자인 등을 추가하거나, 이를 원료화해서 새로운 가치의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버려진 현수막을 이용해 가방을 만드는 것, 빈 병을 이용해 조명이나 화분을 만들어 활용하는것 등이 있다.
2022년 2월 4일, 큰 기대로 시작된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 많은 논란과 문제점으로 비난을 받았다. 베이징 올림픽의 문제점은 크게 4가지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 첫 번째, 쇼트트랙 빙질 문제 중국은 캐나다 출신의 아이스메이커를 고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빙질을 자랑했지만, 실제로는 빙질문제로 인해 선수들은 경기중에 계속해서 넘어졌다. △ 두 번째, 문화공정 문제점 개막식 진행중, 우리나라의 한복을 입은 공연자가 나타나서 논란이 되었다. 중국측은 문화공정이나 문화약탈이 아니라고는 했지만,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를 왜곡했다는 점은 관심있게 봐야할 사안이다. △ 세 번째, 환경 문제 2022 올림픽 스키장을 비롯해, 몇몇 경기장이 국가 자연 보호구의 중심인 베이징 '옌칭구 샤오하이타사에 세워졌다 이 곳을 베이징에서도 유일하게 '나오든 산시 난초'를 포함한 희귀종들이 서식중인 곳으로, 경기장으로 개발하는 것에 대해 우려가 컸었다. △ 마지막으로, 러시아 '발리예바'의 도핑 논란 선수들은 금지약물을 투여하면, 올림픽등 국제 경기 출전권을 포기해야 하지만, '발리예바' 선수는 만 16세 이하로 판단능력이 없다며 출천 기회를 얻었다. 2022 베이징 동계